2025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 김회영
안녕하세요, 이번 25학년도 한예종 방송영상과에 합격한 김회영입니다.
1차 논술은 시험장을 나오면서 스스로도 잘 썼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2차 논술은 기대한 만큼 잘 쓰지 못한 것 같아 불안했는데
어찌저찌 최종합격을 했네요. 신기합니다.
저는 논술 준비를 딱히 하진 않았습니다.
일반적인 인문논술을 준비했던 것이 어느 정도로는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한예종 논술을 준비할 땐 내부 논술 대비 과제가 생각을 자유롭게 펼치는 것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에 저는 딱히 논술을 준비하기보다는
평소에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숙고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더 합격에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사실 저는 2차에서 논술보다는
면접을 잘 봤서 붙은 것 같습니다.
모든 질문에 빠짐없이 제가 진짜 평소에 생각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답했고
자기소개랑 마지막에 마무리 하고 싶은 말도 잘 했습니다.
중간에 개인적인 시국관련해서도 대답도 받았어요.
딱히 외웠다기보다 면접날의 그 가장 개인적인 생각들을 용기내 말로써 드렸습니다.
질문에 당황하거나 순간적으로 허둥대지 않고 차분하게 말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제 자신을 응원해주는 느낌이었기에, 믿음 있는 자세로 임한 것이 이런 경우도 많았습니다 :)
제가 그렇게 말하고 싶었던 것들을 대답하며 다 말할 수 있었던 데에도
역시 내가 어떤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스스로 끊임없이 규정하려는
습관 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즉, 한예종 합격을 위해서는 틀에 박힌 '입시에 주목'하기보다는
나 자신의 생각들에 주목하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2학년 때 레포피에서 영화과 준비를 하며 내가 생각하는 바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힘을 길렀습니다.
여러 사회 이슈와 관련된 신문기사들 가져와서 이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수업을 했고, 나 자신에 대한 질문들을 묻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연습이 저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 영화과 또는 방송영상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미 관심 있는
사회 이슈나 좋아하는 콘텐츠, 영화 장르 등등이 확고하고 좋아하는지 등
자신에 대해 자각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를 논술 그리고 면접에서 분명한 표현으로 남김없이 표현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저는 원래 생각이 많았으나 그것을 잘 설명하진 못했습니다.
그러나 면접 수업, 토론 수업 등을 통해 피드백을 받고 그것을 개선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저는 고3때 한예종을 지원하지 않고 그냥 수능을 봤다가 망하고 정시파이터가 되어
계속 학원에 돌아왔습니다. 그래서 사실상 올해 한예종 입시 준비라고는
1차 합격 이후 학원에서 준비한 2차 수업밖에 없으며, 그마저도 소수의 타칭 대상자입니다.
저는 저의 합격 요인을 교과외 연습을 위해 기숙학원에서 핸폰도 없이 지내며
모든 사소한 주제를 깊게 들여본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즉 주변과 자신을 제대로 들여다볼 줄 알고, 숙고할 줄 알며,
그것을 대답의 말 밖으로 꺼낼 수 있는 힘이 필요합니다.
덧붙여, 학원에서 가장 큰 도움을 받았을 때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바로 1차 합격 후 자소서를 쓸 때였습니다.
자소서가 생기부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저는 올해 자소서는 처음 써 봤습니다.
그렇기에 고생해서 쓴 초안을 피드백 받는데, 피드백 받으면서 드는
생각이 ‘이대로 쓰면 진짜 망했겠다’였습니다.
여러 합격생의 자소서를 봐 오신 선생님이 계신 학원인 만큼
자소서 작성은 레포피와 함께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엄청 열정적으로 봐주시네요.)
짧은 제출기한을 두고 여유도 없이 끊임없는 자소서 수정과 피드백을
받았다는 고백은 힘들었지만 그 과정에서 면접에서 해야 이야기들도
대충 구성할 수 있었고 피드백을 받을수록 자소서가 괜찮아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글자 수 초과가
저에게는 가장 큰 허들이었는데, 기가 막히게 줄여주십니다.
여러분 예정 생각보다 별 거 없습니다.
사실 저도 이러다 다시 삶을 정모로 허무하게 볼쌌습니다.
제가 특별히 잘한 사람이었던 것도 아닌데 그랬습니다.
그냥 수업에서 주시는 피드백들을 받아들이고 수정하려고 노력하되
시험장 그곳에서만큼은 모든 것을 잊고 정말 자신의 생각과
쉬운 말로 말하려 했던 면접과 논술이 합격의 길을 낳게 했던 것 같습니다. 다들 응원합니다.